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F106

정적자산배분 - 60/40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60/40 포트폴리오란? 60/40 포트폴리오는 주식 60%, 채권 40%의 비율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입니다. 해당 자산군의 비중을 단순하게 세팅하여 투자하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자산배분법 보다 적당한 방어를 하면서 공격을 할 수 있는 비중은 현실적으로 찾기 어렵운 상황입니다. 보통의 경우 주식형 인덱스펀드 60%와 채권형 인덱스펀드 40%로 종목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참고할 사항이며, 개별주식 60%와 개별채권 40%로 비중조정을 구성해도 되며, 테마 ETF나 펀드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합니다. 60/40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가장 대표적인 ETF로 구성된 60/40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보았습니다. SPY는 미국 S&P500 수익률을 따라가는 ETF이며 BND는 미국전역의.. 2023. 8. 12.
정적자산배분_영구포트폴리오 자산배분을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익률을 원합니다. 하지만 자기가 직접 투자하여, 잃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은 항상 수익을 원하기 마련입니다. 반대의 사람들은 항상 자기가 잃지 않으려고 합니다. 잃지 않기 위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격형 자산들과 같이 방어형 자산들도 같이 보유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자산배분을 해야 합니다. 이것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축구를 떠올려 보면 됩니다. 축구에는 공격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공격수도 있지만 중앙에서 볼을 이끌어주는 미드필더, 상대편의 공격을 막아주는 수비수, 최종 골문을 지키는 골키퍼까지 있습니다. 모두 각자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각 위치에 포메이션 잘 유지되어야만 경기에서 승리를 할 수 있습니다. 투자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각.. 2023. 8. 12.
인덱스 ETF - 인덱스 ETF 투자하는 이유, 종목 선정 인덱스 ETF의 투자하는 이유 본인은 인덱스 ETF를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왜 인덱스 ETF에 투자를 하냐구요? 이 ETF에 투자하는 것이 저에게는 가장 수익률이 좋기 때문입니다. 개별적인 투자를 하여도 저는 장기적으로 인덱스 ETF의 수익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트레이딩을 하더라도 인덱스 ETF라는 종목을 대상으로만 단타를 하며, 장기적인 투자를 하더라도 인덱스 ETF만을 대상으로 장기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제가 칭하는 이 인덱스 ETF란 어떠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말하며 펀드매니저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ETF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 더군다나 시간 지평을 늘려 10년 이상을 투자를 한다면 상위 10%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에 저는 인덱스 ETF에 투자를 .. 2023. 8. 11.
ETF 투자 시 알아야 할 점_집합투자업자, 괴리율과NAV 집합투자업 ETF시장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회사입니다. ETF를 기획하고 상품화 하는 과정에서 펀드매니저로서 ETF를 운용하는 업무 전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투신사, 운용사, 자산운용회사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집합투자업자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사라는 것은 알겠는데 이 회사를 ETF투자시 왜 잘 알아야 할까? 바로 그 이유는 회사의 존립 유무이다. ETF라는 것도 회사의 동고동락과 같이 하기 때문이다. 운용자산이 몇개 없고 대형화된 운용사가 아니라면 그 ETF도 머지 않아 회사가 없지듯이 없어 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성의 문제로 인해 시장에서 제공하는 가치의 괴리율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어 ETF 투자를 하는 것인지 기부를 하는 것인지 황당할 때가 있.. 2023. 7. 16.
반응형